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3

연금 수령할 때 1500만원 넘기면 안되는 이유 노후에 연금으로 한달에 얼마나 받으면 충분할까? 보통 한달에 필요한 적정 금액으로 300-400만원 정도 생각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노후 준비로 연금을 준비를 많이 하는데 연금저축, IPR,퇴직금도 연금으로 받아 400만원씩 받아야지 이런 결심을 하게 된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게 안된다. 왜냐하면 사적 연금을 1년동안 1500만원 이상 수령을 하게 되면 종합소득으로 과세가 되기 때문이다. 공적연금 VS 사적연금연금 종류에는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이 있다. 공적연금으로는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이 있고 사적연금으로는 연금저축펀드,IRP가 있다. 금융기관에 계좌를 열고 내돈을 넣어서 나중에 연금으로 타 쓰는 걸 사적연금이라고 한다.​사적연금- 연금저축펀드- IRP​공적연금-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 2025. 3. 21.
다주택자 세금 중과 폐지 추진, 지방 부동산 기회 올까? 3월 18일 어제 국민의 힘에서 다주택자 세금 중과 폐지를 추진 한다는 뉴스가 나왔다. 현재 부동산 정책은 다주택자를 규제하고 있다. 다주택자들을 규제하고 세금 중과를 하다 보니 돈이 있는 사람들은 당연히 여러개의 집을 사는게 아니라 같은 돈으로 더 좋은 1개의 주택을 매수하게 된다. 그래서 지방의 부자들도 지방의 부동산을 정리하고 강남의 아파트를 매수하기 때문에 강남만 가격이 오르고 있다. 반면에 지방은 준공 후 미분양(악성 미분양)이 10년 래 최대치인부데 강남구는 전고점을 돌파해 초 양극화의 시대로 왔다.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이 줄면서 지방 부동산 살리기 카드가 될지 살펴보자.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 없어진다면   현재 2주택자가 지방에 아파트 1채를 추가 매입하면취득세 8% → 1~3%로 감소예를.. 2025. 3. 20.
토허제 해제 한달만에 강남3구 토허제 확대·재지정 서울시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를 다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지정했다.불과 한 달 전 토허제를 해제했다가 집값이 급등하자 다시 규제 강화를 한 것이다.                                                                 한달 만에 재지정 '토허제 헛발질'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31911205171007기사 제목이 한달 만에 재지정 '토허제 헛발질' 인데 너무나 공감하는 제목이다.​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31911205171007​서울시, 왜 토허제를 다시.. 2025. 3. 19.